(복습)
=> Literal :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데이터
숫자(정수, 실수) , bool(true , false)
데이터 모임
str : 문자의 모임 -'문자열' , "문자열" , ''' 여러줄 ''' , """ 여러줄 """
bytes : 바이트의 모임 - b ' 문자열 '
list : 동일한 모양의 데이터 모임 - [데이터 나열]
tuple : 모아서 하나처럼 사용하는 데이터 모임 - ( 데이터 나열 )
set : 데이터의 중복없이 모아놓은 모임 - { 데이터타입}
dict : 이름과 데이터를 같이 저장하는 데이터 모임 - {이름 : 값 , 이름 : 값 ...}
=>Veriable : 데이터에 붙여놓은 이름
다음에 데이터를 사용할 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이름을 붙입니다.
[10,20,30]이 데이터를 다음에 또 사용하려면 또 [10,20,30]을 써야 한다.
li =[10,20,30] 으로 해주면 li 라고 쓰면 [10,20,30] 이 된다.
변수의 범위
👉 함수 외부에 작성해서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를 global veriable(전역변수)
👉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변수를 local veriable(지역변수)
👉 함수 안에서 자신을 감싸고 있는 함수를 nonlocal veriable 이라고 하고 파이썬에 만 있다.
👉 클래스 안에서 만들어진 인스턴스가 사용하는 변수를 member veriable 이라고 한다.
=> Operator(연산자): 데이터를 가지고 계산을 수행해주는 기호 나 명령어
+ ,- , * , / , % , %% (몫) , ** (거듭제곱) =: 오른쪽의 데이터를 왼쪽에 변수에 대입하는 연산자 > , >= , < , <= : 크기 비교를 해서 bool 로 리턴하는 연산자 == , != : 동일성 여부를 확인해서 bool로 리턴하는 연산자 &&(AND) , ||(OR) , ^(XOR) : 1) | (OR - 둘중하나만 1인경우도 1) 2) &(AND - 둘다 1인경우 에만 1 3) ^ (XOR - 둘다 같으면 0 다르면 1) !(NOT): bool 데이터를 반대로 만들어주는 연산자 >> , << : 왼쪽과 오른쪽으로 밀어내는 연산자 (쉬프트이동) and , or : bool 2 개를 연산하여 bool로 리턴하는 연산자 다른연산자 =. 왼쪽에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와 오른쪽의 데이터를 연산해서 다시 왼쪽의 변수에 대입하는 연산자 ex) a=1 a+=3 =a= a+3 =4 |
=> 데이터의 모양을 변환
int(데이터) : 정수로 변환
float(데이터) : 실수로 변환
bool(데이터) : bool로 변환
str(데이터) : 문자열로 변환
=> 연속된 숫자 모임 생성
range(시작숫자 , 종료다음숫자 , 간격 )
1개만 설정하면 0부터 그 숫자 전까지 1씩 증가
2개를 설정하면 시작숫자부터 종료숫자 전까지 1씩 증가
=> Control statement(제어문)
if : 조건에 맞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
while : 조건에 맞는 경우만 반복
for : 데이터 모임을 순회하면서 반복
break : while 이나 for를 종료
continue : while 이나 for에서 아래 문장을 하지 않고 다음 반복으로 이동
if ? : 코드 |
while ?: 코드 |
for 변수 in 데이터모임: 코드 |
=> function(함수): 자주 사용되는 코드의 모임을 하나의 이름으로 만든 것
def 함수이름(매개변수 나열):
코드
return 데이터
매개변수 없을 수 있고 return 없을 수 있습니다.
함수를 실행할 때는 함수이름 (매개변수를 대입)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클래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(0) | 2021.01.17 |
---|---|
[파이썬]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(0) | 2021.01.16 |
[파이썬] function 함수 2 (0) | 2021.01.16 |
[파이썬] function (0) | 2021.01.10 |
[파이썬] 반복문 (0) | 2021.01.10 |